1주 1강
언어에 대한 이해
학습종료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1주
1강 언어에 대한 이해
강의듣기
촬영교수
박혜란
약력
대진대학교 문학사 학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석사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운론 박사
건국대학교 언어교육원 강사
협성대학교 교양교직학부 시간강사
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시간강사
한국어교사원격평생교육원 운영교수
학습목표
언어의 기능을 정의할 수 있다.
한국어의 특성을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학습내용
언어란 무엇인가
언어의 형식과 내용
언어와 한국어
사전학습
언어에서 한국어가 가지고 있는 특징은 무엇인가?(최대100글자)
0
저장하기
생각해보기
학습 내용은 잘 이해가 되었나요? 학습을 마친 후 사전학습에서 작성했던 글을 다시 확인해 봅시다.
다른 사람들의 의견과 교수님 의견을 확인해 보고 내 의견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봅시다.
언어에서 한국어가 가지고 있는 특징은 무엇인가?(최대100글자)
0
저장하기
사전학습 게시판
%>
교수님 의견
입력한 내용은 사전학습에서 썼던 게시물에 수정 적용 됩니다.
x
교수님 의견
음운, 형태, 통사적 측면에서 여러 특징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삼지적상관속, 비분절음운, 높임법의 발달 등이 있다.
닫기
확인하기
다음 문제를 풀어봅시다.
정답확인
정답
다음페이지
다시풀기
다음문제
결과 보기
결과를 확인하세요.
총
3문제
중
를 맞히셨습니다.
문제를 다시 풀려면
[다시 풀기]
를 클릭하세요.
다시 풀기
학습정리
오늘의 주요 학습내용을 정리해보세요.
1. 언어란 무엇인가
언어란 우리 사회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사고에도 영향을 미친다.
2. 언어의 형식과 내용
언어의 형식은 음성과 문자, 언어의 내용은 의미로 정의할 수 있다.
언어연구의 대상은 랑그이며 이는 언어능력이라고도 한다.
3. 언어와 한국어
한국어는 음운, 형태, 통사적 측면에서 다른 언어와 다름이 나타난다.
한국어는 자음, 모음, 비분절음운으로 나뉜다.
한국어는 첨가어(교착어)이다.
한국어는 주어-목적어-서술어(SOV)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어의 어휘는 고유어와 외래어로 구성되어 있다.
인쇄하기
다음강의
1주 2강
언어의 일반적 특성
강의종료
1
1강 언어에 대한 이해
2강 언어의 일반적 특성
3강 한국어학의 유형
2
1강 음운론(1)
2강 음운론(2) - 자음체계
3강 음운론(3) - 모음체계
3
1강 음운론(4) - 음운 변동1
2강 음운론(5) - 음운 변동2
3강 형태론(1) - 형태소와 단어
4
1강 형태론(2) - 단어 형성 원리
2강 형태론(3) - 품사 분류1
3강 형태론(4) - 품사 분류2
5
1강 어휘론(1)
2강 어휘론(2)
3강 통사론(1) - 문장의 성분1
6
1강 통사론(2) - 문장의 짜임1
2강 통사론(3) - 문장의 짜임2
3강 통사론(4) - 문장 종결
7
1강 통사론(5) - 높임 표현
2강 통사론(6) - 시간 표현
3강 통사론(7) - 사동 표현과 피동 표현
9
1강 통사론(8) - 부정 표현
2강 통사론(9)
3강 의미론(1)
10
1강 의미론(2) - 어휘의미론
2강 의미론(3) - 문장의미론
3강 화용론(1)
11
1강 화용론(2)
2강 사회언어학
3강 문자론
12
1강 한국어사(1) - 차자 표기
2강 한국어사(2) - 훈민정음 창제
3강 한국어 어문규범(1)
13
1강 한국어 어문규범(2)
2강 한국어 어문규범(3)
3강 남북한의 언어
14
1강 계통론과 심리 한국어학, 전산 한국어학
2강 한국어 습득론
3강 한국어교육 정책론
처음으로
학습하기
학습확인
정리하기
검색
/ 8
/ 8